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자동차업계에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HEV)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받았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가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점차 인기를 얻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실 PEHV는 시장에 출시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자동차 1대에 2가지 동력원을 결합해야 하기에 발생되는 비용가 기술적 복합성 때문에 판매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 연방 정부의 막대한 지원으로 구매자들에게 PHEV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글은 최근 주목받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량’ ‘하이브리드(HEV) 차량’에 대하여 특징 및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대표적인 차종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은?
전기 모터와 내연기관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한 종류입니다.
일반 하이브리드 차량과 달리, PHEV는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된 상태에서는 전기차처럼 전기 모드로만 주행이 가능하며,
배터리가 소진되면 내연기관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주행을 이어나갑니다.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주요 특징
· 전기 모드 주행 가능: 일정 거리(보통 20~50km)를 전기 모드로만 주행할 수 있어, 출퇴근 등 짧은 거리는 연료 소비 없이 전기로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
· 혼합 구동 방식: 배터리 소진 시 내연기관이 작동해 장거리 주행이 가능합니다. 전기차의 주행 거리 제한 문제를 보완한 형태입니다.
· 외부 충전 가능: 집이나 공공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장단점
장점
· 연료비 절감: 단거리 운행 시 전기 모드로 주행이 가능해 연료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주행 옵션: 전기 모드와 내연기관 모드를 혼합해 주행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환경 친화적: 전기차 모드 사용 시 배출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내연기관보다 탄소 배출량이 적습니다.
단점:
· 비용: 일반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가격이 높습니다.
· 충전 인프라 필요: 주기적인 충전 필요, 충전소가 없을 경우 불편할 수 있습니다.
· 무게 증가: 배터리와 내연기관이 모두 탑재되어 있어 차량 무게가 일반 하이브리드보다 무겁습니다.
√ 대표적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도요타 프리우스 : 높은 연비와 신뢰성으로 인기 있는 모델입니다.
기본트림 SE
· 가격: 4,630만원~
· 연비:19.4km/l (복합연비,주행모드)
· 1회 충전 64km
· 출력: 223마력
· 배기:1,987cc
현대 투싼 PHEV: SUV 형태로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며, 효율적인 전기 주행이 가능합니다.
기본트림 2024 SEL(미국시장 기준)
· 기본 권장가: $38,725
· 순수 전기 주행거리:33마일
· 261마력 복합 전기/가솔린
· 10.25인치 터치스크린 내비게이션
·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BMW 330e: 프리미엄 세단의 성능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효율성을 결합한 모델입니다.
기본트림 Luxury
· 가격:6,320만원~
· 연료: 전기, 가솔린, 하이브리드
· 연비: 복합 16.7km/l 도심, 고속
하이브리드 (Hybrid Electric Vehicle, HEV)는?
내연기관(가솔린 또는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차량입니다.
두 가지 동력원을 효율적으로 결합해 연비를 개선하고,
배출가스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주행 상황에 따라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유연하게 전환하며,
배터리는 주행 중 엔진과 회생 제동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충전됩니다.
√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요 특징
· 두 가지 동력원: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해, 연료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 자동 배터리 충전: 외부 충전이 필요 없이 주행 중 내연기관과 회생 제동을 통해 배터리가 충전됩니다.
· 연비 개선: 도심 주행 시 전기 모터를 주로 사용해 연비를 높이고, 배출가스를 줄입니다.
√ 하이브리드 차량의 장단점
장점
· 높은 연비: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효율적으로 조합해 연비가 우수합니다.
· 외부 충전 불필요: 전기차와 달리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필요 없이 주행 중 자동으로 충전됩니다.
· 유연한 주행 성능: 시내에서는 전기 모터를, 고속도로에서는 내연기관을 주로 사용해 효율적인 주행이 가능
· 환경적 이점: 전기 모터를 활용해 배출가스와 소음이 줄어들며, 일반 내연기관 차량보다 친환경적입니다.
단점
· 비교적 복잡한 시스템: 두 동력원을 결합으로 차량 구조가 복잡, 유지보수가 어렵고 비용이 높음
· 전기 주행 거리 제한: 전기 모터만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 장거리 전기 주행은 어렵습니다.
· 무게 증가: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추가로 탑재해 일반 내연기관 차량보다 무겁습니다.
√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차량
도요타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차량의 대표 모델로, 높은 연비와 신뢰성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습니다.
기본트림(2024 LE)
· 가격: 3,990만원~
· 연비:20.9km/l (복합연비,주행모드)
· 출력: 196마력
· 배기:1,987cc
· 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세단 형태의 하이브리드로, 연비와 주행 성능을 모두 겸비한 모델입니다.
기본트림(2024 2.0 HEV)
· 가격: 3,187만원~
· 연비:17.1~19.4km/l (복합연비,주행모드)
· 출력: 195마력
· 배기:1,999cc
· 기아 니로 하이브리드: 소형 SUV로, 실용성과 연비를 모두 잡은 하이브리드 모델입니다.
기본트림(2024 1.6 HEV)
· 가격: 2,173만원~
· 연비:19.1~20.8km/l (복합연비,주행모드)
· 출력: 104마력
· 배기:1,999cc
어떤 차를 선택해야 할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하이브리드(HEV)는 모두 친환경적인 자동차이지만, 사용 목적과 주행 패턴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PHEV는 짧은 거리에서 전기차처럼 주행하고, 외부 충전을 통해 연료비를 절감하려는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반면, HEV는 충전 인프라 걱정 없이 연비를 높이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유리합니다. 초기 비용, 충전 인프라, 주행 패턴을 고려해 자신에게 맞는 차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